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| Previous revision | ||
ko:roon [2017/01/25 19:19] – sanghoon | ko:roon [2017/05/25 22:32] (current) – [Roon Server 사용법] sanghoon | ||
---|---|---|---|
Line 15: | Line 15: | ||
* **DSD mode**: DSD 음악파일 재생 방법을 NONE, NATIVE, DOP, DCS, NATIVE/DOP, NATIVE/DCS 중 선택합니다. | * **DSD mode**: DSD 음악파일 재생 방법을 NONE, NATIVE, DOP, DCS, NATIVE/DOP, NATIVE/DCS 중 선택합니다. | ||
* **DSD rate**: 최대 DSD 음악파일 속도를 x64, x128, x256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 | * **DSD rate**: 최대 DSD 음악파일 속도를 x64, x128, x256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 | ||
- | * **Buffer duration**: 오디오 출력 장치의 버퍼 지속 시간을 설정합니다. 음악 재생에 문제가 있을 경우 값을 조절 합니다. | + | * **Buffer duration**: |
* **Resync delay**: 0.1 ~ 0.5 사이의 값을 0.01 단위로 조절 할 수 있습니다. | * **Resync delay**: 0.1 ~ 0.5 사이의 값을 0.01 단위로 조절 할 수 있습니다. | ||
===== Roon Ready 사용법 ===== | ===== Roon Ready 사용법 ===== | ||
- | 같은 네트워크상에 Roon Server기기를 실행합니다. Roon Ready를 ' | + | 같은 네트워크상에 Roon Server기기를 실행합니다. Roon Ready를 ' |
+ | |||
+ | <note important> | ||
필요에 따라서 활성화된 기기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 {{ : | 필요에 따라서 활성화된 기기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 {{ : | ||
- | 활성화 상태로 변경, 필요시 이름 변경 한 후, 활성화 된 또는 | + | 변경된 이름의 sMS-200을 Audio zone으로 선택하여 사용합니다. {{ : |
아래는 사용 동영상입니다. | 아래는 사용 동영상입니다. | ||
Line 33: | Line 35: | ||
Roon Server 는 Roon Core 와 Roon Output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Roon Remote 기기를 통해 음악 라이브러리와 오디오 출력을 관리할 수 있고 음원파일을 탐색하고 재생 할 수 있습니다. [[https:// | Roon Server 는 Roon Core 와 Roon Output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Roon Remote 기기를 통해 음악 라이브러리와 오디오 출력을 관리할 수 있고 음원파일을 탐색하고 재생 할 수 있습니다. [[https:// | ||
+ | Roon core 1.3 버전부터 ' | ||
===== Roon Server 사용법 ===== | ===== Roon Server 사용법 ===== | ||
Eunhasu 에서 Roon Server를 시작하여 ' | Eunhasu 에서 Roon Server를 시작하여 ' | ||
- | Roon Server 가 ' | + | Roon Server 가 ' |
Core 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선택합니다. {{ : | Core 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선택합니다. {{ : | ||
Line 45: | Line 48: | ||
Audio Zone 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.{{ | Audio Zone 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.{{ | ||
+ | <note important> | ||
---- | ---- | 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