====== Eunhasu 시작하기 ======
===== Eunhasu 개요 =====
Eunhasu 는 Web GUI 기반 네트워크 플레이어 제어 애플리케이션입니다. Linux OS를 기반으로 하였고, 간결하며 멋진 디자인의 Web GUI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손쉽게 설정하고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PC는 물론 스마트 기기의 다양한 앱을 사용하여 음악을 탐색하고 재생할 수 있습니다.
===== Eunhasu 기능 =====
* Web GUI
* Easy system configuration
* Selectable music player applications
* Selectable and configurable USB audio devices
* Network share folder and USB storage device setting
* Roon Ready
* Roon Server [[:ko:sms-1000sq|sMS-1000SQ]] 지원
* MinimServer
* DLNA audio renderer, OpenHome support
* MPD (Music Player Daemon)
* LMS (Logitech Media Server)
* Squeezelite
* HQPlayer Network Audio Adapter
* Shairport
* Multi-zone network playback
===== Eunhasu 적용 모델 =====
* [[:ko:sms-200|sMS-200]]
* [[:ko:sms-200ultra|sMS-200ultra]]
* [[:ko:sms-1000sq|sMS-1000SQ]]
===== 서비스 =====
아래 각 제품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이름을 클릭하면, 이에 해당하는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==== sMS-200 서비스 ====
* [[:ko:roon#roon_ready|Roon Ready]]
* [[:ko:squeezelite|Squeezelite / Logitech Media Server]]
* [[:ko:mpd|MPD / DLNA renderer]]
* [[:ko:hqplayer_naa|HQPlayer NAA]]
* [[:ko:shairport|Shairport]]
* [[:ko:librespot|LibreSpot]]
==== sMS-1000SQ 서비스 ====
* [[:ko:roon#roon_server|Roon Server]]
* [[:ko:squeezelite|Squeezelite / Logitech Media Server]]
* [[:ko:mpd|MPD / DLNA renderer]]
* [[:ko:hqplayer_naa|HQPlayer NAA]]
* [[:ko:shairport|Shairport]]
* [[:ko:librespot|LibreSpot]]
* [[:ko:minimserver|MinimServer]]
* [[:ko:cd_ripping|CD Ripping]]
===== Eunhasu 사용 방법 =====
==== Eunhasu Web GUI 연결 ====
PC나 스마트 기기의 웹브라우저를 실행하고 [[http://eunhasu|http://eunhasu]] 에 연결합니다.
Apple® 기기에서는 [[http://eunhasu.local|http://eunhasu.local]] 에 연결 합니다.
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기기내 웹브라우저로 [[http://sotm-audio.com/my|http://sotm-audio.com/my]] 에 접속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기기 목록을 확인하기 바랍니다. [[http://sotm-audio.com/my|http://sotm-audio.com/my]] 사이트는 IPv4 환경에서만 정상동작 합니다.
위의 방법으로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공유기에 접속해 Eunhasu가 설치되어 있는 제품(예 : sMS-200 또는 sMS-1000SQ) 의 IP 주소를 확인하고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IP주소 [[http://xxx.xxx.xxx.xxx|http://xxx.xxx.xxx.xxx]] 에 연결해야 합니다. IP주소를 통해서도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 연결,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. 정상적으로 Eunhasu Web GUI에 연결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 됩니다.
{{ :en:스크린샷_2016-11-14_14.18.54.png?600 }}
==== 기능 선택 ====
Web GUI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아이콘 위로 커서를 이동하여 아이콘이 선택되도록 하며, 아래와 같이 사용에 필요한 동작 버튼({{fa>play}} {{fa>stop}} {{fa>refresh}} {{fa>cog}})이 표시 되면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. 터치 방식을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에서는 아이콘을 터치하면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동작 버튼이 표시 됩니다.
{{ :en:스크린샷_2016-11-14_14.42.07.png?600 }}
Roon Ready 서비스를 예를 들어, {{fa>play}} 아이콘을 클릭하면 Roon Ready 서비스를 'Active' 상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 {{ :en:capture_20170126125530.png }}
서비스가 정상적으로 'Active' 상태가 된 화면입니다. Roon Ready 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도 동일한 화면이거나 유사한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. {{ :en:capture_20170126125810.png }}
서비스 상태가 정상적으로 바뀌지 않거나, 서비스 로딩 애니메이션이 계속 보인다면 페이지를 '다시 읽기' 해주세요.
==== 시스템 설정 ====
시스템 이름 변경, 배경화면 변경, Wifi 설정, 라이브러리 설정, 시스템 업그레이드, 재시작, 전원 끄기 기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=== 일반 설정 ===
{{ :en:screen_shot_2017-07-03_at_10.16.06-fullpage.png?600 }}
* **Host name**: 네트워크를 통해 보여지는 기기의 이름 입니다. 여러 대의 Eunhasu 설치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서로 다른 Host name를 사용해야합니다. 공백없이 영문자만 사용 가능합니다.
* **Workgroup**: 네트워크에 공유된 폴더 연결에 필요한 작업 그룹 이름입니다. 일반적으로 "WORKGROUP"을 사용하며 필요 시 변경 할 수 있습니다. 공백없이 영문자만 사용 가능합니다.
* **IP**: 동적/고정 아이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{{ :en:screen_shot_2017-07-03_at_10.18.07-fullpage.png?600 }}[[ko:eunhasu:burn_sdcard_image|mSD 카드 초기화 방법]]
* **Save & Reboot system**: 변경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품을 재시작합니다.
* **Cancel**: 입력한 정보를 무시하고 처음 화면으로 돌아갑니다.
고정 IP를 설정 후에 잊어버리면 안됩니다. 만약 설정한 고정 IP를 잊어 버렸다면 아래처럼 해보십시오.
- LAN 케이블을 기기에 연결하고 기기의 전원을 켜 부팅을 완료합니다.
- 부팅 후 랜 케이블을 빼어낸 후 5분 이내로 LAN 케이블을 다시연결합니다.
- Static IP로 설정했던것이 지워지고, 다시 DHCP로 변경됩니다.
- 기기를 재부팅합니다.
그래도 안될 경우에는 [[ko:eunhasu:burn_sdcard_image|micro SD를 새로 구워야]] 합니다.
=== CPU Frequency 기능 ===
CPU frequency 기능은 sMS-200, sms-200ultra, sMB-Q370에서 Eunhasu firmare version no. 5.51에서부터 사용 가능한 기능입니다. sMS-1000SQ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BIOS에서 SpeedStep 기능을 enable하면 사용 가능합니다. 아래 이미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{{:ko:eunhasu:enabling_speedstep_feature.jpeg?600|}}
지원되지 않는 기기의 경우는 Eunhasu firmare version no. 5.51에서 자동으로 disable됩니다.
=== 배경 화면 변경 ===
배경 화면을 변경합니다. jpeg, png 형식의 파일을 배경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. 변경 후에도 기존 화면이 그대로 보인다면, 웹브라우저의 캐시때문일 수 있습니다. 페이지 '새로고침'을 해주세요.
{{ :en:capture_2017-01-20_10.32.54-fullpage.png?600 }}
=== Wifi 설정 ===
[[:ko:how_to_use_wifi_in_eunhasu|Wifi 연결 방법]] 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.
==== 라이브러리 설정 ====
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공유폴더의 경로와 USB 저장장치 사용여부를 설정 합니다.
{{ :en:screen_shot_2017-01-25_at_15.47.35-fullpage.png?600 }}
* NAME: Logitech Media Server나 MPD에 표시되는 라이브러리 폴더 이름을 입력합니다. 공백없이 영문자, 숫자만 조합만 사용 가능합니다.
* PATH: 네트워크 공유폴더의 경로를 입력합니다. 스크린샷에 보이는 경로 설정을 참고하기 바랍니다.
* ID: 네트워크 공유폴더에 접근하기 위해 아이디가 필요하면 입력합니다.
* PW: 네트워크 공유폴더에 접근하기 위한 아이디에 패스워드가 필요하면 입력합니다.
* Save & Use: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고 연결하여 사용 합니다.
* Save: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지만 사용하지는 않습니다.
* Remove: 입력한 정보를 삭제 합니다.
* Automatic USB storage mount: USB 저장장치 사용 여부를 설정 하고, 최대 2개의 USB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* 선택하면 USB 저장장치가 연결되고 자동으로 인식하여 Logitech Media Server나 MPD에서 USB1, USB2로 연결 됩니다.
* Save changes: 변경 되거나 추가된 정보를 저장 합니다.
* Cancel: 입력한 정보를 무시하고 처음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.
Save changes 버튼을 눌러 네트워크 공유폴더를 저장 해야만, 또 다른 네트워크 공유폴더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.
==== Eunhasu 폴더 접근 ====
=== Windows ===
탐색기 '네트워크' 항목에 'EUNHASU' 를 선택하면 현재 동작 중인 Eunhasu 가 동작하고 있는 제품의 폴더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여러 대의 Eunhasu 가 동작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때는 이름이 중복되지 않도록 [[:ko:eunhasu:start#시스템_이름_변경|시스템 이름을 변경]]해야 합니다.
{{ :en:capture_20170120160852.png?600 }}
경로창에서 경로를 직접 입력하여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.
{{ :en:capture_20170120161043.png?600 }}
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면 mwdata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. {{ :en:capture_20170120161110.png?600 }}
//*업데이트: 2025년 6월 13일//
Windows 버전(예: Windows 10에서 Windows 11로)을 업그레이드한 후 Eunhasu 폴더에 접근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 경우, 아래 링크의 영상을 참고해 주세요:
🔗 https://youtu.be/P3vSWbJtwKQ?si=f3RHkUP3klgTIHPI
이 영상은 문제를 해결하고 \\EUNHASU\mwdata\music 폴더에 다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또한, 기본 사용자들을 위해 {{ :undefined:allowinsecureguestauth.reg.zip |레지스트리 파일}}을 준비해 두었습니다.
해당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하고 변경을 허용해 주세요.
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파일 실행 후에는 PC를 재시작해 주세요.
* 레지스트리 파일은 압축되어 있습니다. 다운로드 후 먼저 압축을 해제해야 실행할 수 있습니다.
위 과정을 완료하면 \\EUNHASU\mwdata\music 폴더에 문제없이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.
=== Mac OS ===
Finder 에서 Eunhasu 로 연결하여 Eunhasu 탑재 기기의 폴더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접근할 때, 'Guest' 권한으로 접근하면 됩니다.
{{ :en:capture_20170120161634.png?600 }}{{ :en:capture_20170120162008.png?600 }}
==== 시스템 업그레이드 ====
기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합니다.
{{ :en:screen_shot_2017-01-20_at_13.39.21-fullpage.png?600 }}
* Upgrade now: 모든 사용중인 프로그램을 중지하고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합니다.
* Cancel: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고 처음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.
* 업그레이드는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으며 중간에 전원을 강제로 끄면 제품을 **[[:ko:eunhasu:burn_sdcard_image|다른 방법을 ]]** **[[:ko:eunhasu:burn_sdcard_image|이용]]** 하여 복구해야 하므로 절대로 전원을 강제로 끄면 안됩니다.
*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업그레이드 시작 전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를 제거하고 시작해야 합니다.
업그레이드가 시작되면 진행정도를 화면에 보여줍니다.
{{ :en:screen_shot_2017-01-20_at_13.39.39-fullpage.png?600 }}
서버에 업그레이드 파일이 존재하면, "System Setup" 오른쪽에 노란색 아이콘이 나타납니다.
{{ :en:capture_20170120112922.png }}
필수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경우에 아래 그림과 같은 팝업이 뜹니다.
{{ :en:스크린샷_2016-11-14_14.52.37.png?600 }}
==== 재부팅 및 전원 끄기 ====
기기를 재부팅하거나 전원을 끕니다.
리부팅 동작에 약 2~3분이 소요됩니다. 기기에 연결된 장치에 따라서 부팅 소요시간은 늘어날 수 있습니다. {{ :en:screen_shot_2017-01-23_at_10.28.08-fullpage.png?600 }}
'power off' 기능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, 서서히 종료됩니다. 전원 코드를 강제로 뺄 경우에 저장장치를 손상 시킬 수 있으니, 'power off' 기능을 사용해서 전원을 꺼주세요. {{ :en:screen_shot_2017-01-23_at_10.28.21-fullpage.png?600 }}
===== 유의 사항 =====
* Eunhasu 가 동작하고 있는 제품과 제어하는 PC 또는 스마트기기는 동일한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어 있어야 정상동작합니다.
* 서비스를 사용하기 전에 USB audio output 을 확인해주세요.
* 외부 저장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시, 별도로 전원이 공급되는 외장 하드디스크의 사용을 추천합니다. 최대 2TB 까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* 오디오 전용 USB 포트외에 USB2.0포트는 1개의 포트만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.2개의 USB 포트를 동시에 사용하면 음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1 개의 USB 포트 사용을 권장 합니다.
* Eunhasu 는 IPv4 환경에서 개발, 테스트 되었습니다. IPv6 환경에서는 정상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* 외부 저장장치가 아닌, mwdata 디렉터리 공간을 100% 사용하게되면 시스템이 정상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* 외부 저장장치의 파일시스템이 exFAT 인 경우에는 Eunhasu 버전 V0.2.7 이후부터 사용 가능합니다.
* 외부 저장장치의 파티션이 여러 개 일 경우에 정상동작 하지 않습니다. 외부 저장장치의 파티션이 1개로 설정하여 사용바랍니다.
* 외부 저장장치 연결후 Squeezelite, MPD/DLNA 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===== 추가 팁 =====
==== mSD 카드 초기화 방법 ====
sMS-200(or sMS-200ultra)의 mSD 카드를 초기화 하는 방법 입니다.
* [[:ko:eunhasu:burn_sdcard_image|sMS-200 용 mSD 카드 초기화 방법]]
==== sMS-1000SQ Eunhasu 초기화 방법 ====
sMS-1000SQ의 Eunhasu를 새로 설치하여 시스템 전체를 초기화 하는 방법 입니다.
* [[:ko:eunhasu:installing_x86|sMS-1000SQ Eunhasu 초기화 방법]]
===== 추가 정보 =====
==== Native DSD 재생 지원 DAC 리스트 ====
아래는 Eunhasu 에서 지원하는 Native DSD를 지원하는 DAC에 대한 목록입니다.
^ Model ^ USB ID ^
| Playback Designs | 0x23ba |
| AURALiC VEGA | 0x1511, 0x0037 |
| Wyred 4 Sound DAC-2 DSD | 0x20b1, 0x0002 |
| iFi Audio micro/nano iDSD | 0x20b1, 0x3008 |
| Matrix Audio X-Sabre | 0x20b1, 0x2008 |
| Matrix Audio Quattro II | 0x20b1, 0x302a |
| Matrix Audio Mini-i Pro | 0x20b1, 0x300a |
| Matrix Audio X-SPDIF 2 | 0x20b1, 0x2004 |
| Pro-Ject Pre Box S2 Digital | 0x2772, 0x0230 |
| OPPO HA-1 | 0x22d9, 0x0416 |
| LH Labs Geek Out 1V5 | 0x2522, 0x0007 |
| OPPO Sonica | 0x22d9, 0x0436 |
| LH Labs VI DAC Infinity | 0x2522, 0x0012 |
| LH Labs Geek Pulse X Inifinity 2V0 | 0x2522, 0x0009 |
| Mytek Brooklyn DAC | 0x25ce, 0x001f |
| Mytek Brooklyn DAC+ | 0x27f7, 0x1301 |
| Mytek Manhattan DAC | 0x25ce, 0x0021 |
| Mytek Liberty DAC | 0x25ce, 0x801e/0x001e |
| NuPrime DAC-10 | 0x16b0, 0x06b2 |
| NuPrime Audio HD-AVP/AVA | 0x16d0, 0x06b4 |
| NuPrime IDA-8 | 0x16d0, 0x09d8 |
| NuPrime Audio DAC-9 | 0x16d0, 0x09db |
| ENCORE mDSD | 0x16d0, 0x09dd |
| Bryston BDA3 | 0x1db5, 0x0003 |
| WaveIO USB Audio 2.0 | 0x20a0, 0x4143 |
| Gustard DAC-X20U | 0x20b1, 0x000a |
| Denafrips DAC | 0x20b1, 0x2005 |
| DIYINHK DSD DXD 384kHz USB to I2S/DSD | 0x20b1, 0x2009 |
| OKTO RESEARCH DAC8PRO | 0x20b1, 0x2009 |
| JLsounds I2SoverUSB | 0x20b1, 0x2023 |
| Engineered Electronics Stereo Playback Interface | 0x20b1, 0x300f |
| Eastern El. MiniMax Tube DAC Supreme | 0x20b1, 0x3021 |
| Aune X1S 32BIT/384 DSD DAC | 0x20b1, 0x3023 |
| Unison Research Unico CD Due | 0x20b1, 0x302d |
| Holo Springs Level 3 R2R DAC | 0x20b1, 0x3036 |
| Soekris dac1101 | 0x20b1, 0x3073 |
| Singxer F-1 converter board | 0x20b1, 0x3086 |
| CH Precision C1 DAC | 0x20b1, 0x307b |
| OPPO HA-2 | 0x22d9, 0x0426 |
| HDTA Serenade DSD | 0x22e1, 0xca01 |
| PS Audio NuWave DAC | 0x2616, 0x0106 |
| PS Audio PerfectWave DirectStream DAC | 0x2616, 0x0110 |
| Audiolab 8300 CDQ | 0x2622, 0x0041 |
| Audiolab M-DAC+ | 0x2622, 0x0041 |
| Mutec MC3+ USB | 0x29a2, 0x0086 |
| Cayin iDAC-6 | 0x2d87, 0x000a |
| MSB Technology | 0x6b42, 0x0042 |
| W4S DAC-2v2SE | 0x27f7, 0x3002 |
| Amanero Combo384 | 0x16d0, 0x071a |
| JAVS X6-DAC | 0x2573, 0x8201 |
| iFi Neo iDSD | 0x20b1, 0x3009 |
| iFi Pro iDSD | 0x20bi, 0x3008 |
| OPPO UDP-205 | 0x22d9, 0x0461 |
| Topping D50, D70, D30 Pro | 0x152a, 0x8750 |
| Hegel HD12 DSD | 0x0d8c, 0x0316 |
| Furutech ADL Stratos | 0x16d0, 0x0733 |
| M2Tech Young MkIII | 0x249c, 0x9326 |
| M2Tech hiFaceTWO | 0x249c, 0x930b |
| W4S DAC-2v2SE | 0x27f7, 0x3002 |
| Rotel 1592 | 0x278b, 0x5100 |
| sDP-1000EX | 0x30b1, 0x2102 |
| T+A USB HD Audio 1 | 0x2ab6, Any |
| T+A USB HD Audio 2 | ::: |
| T+A SD 3100 HV | ::: |
| Denon DA-300USB | 0x154e, 0x1003 |
| Denon DCD-1500RE | 0x154e, 0x1002 |
| Denon XMOS USB Audio Device | 0x154e |
| Marantz HD-DAC1, Marantz NA11-S | 0x154e, 0x3005 |
| Marantz SA-14S1 | 0x154e, 0x3006 |
| Luxman DA-06 | 0x1852, 0x5065 |
| TEAC UD-501/UD-501V2/UD-503/NT-503 | 0x0644, 0x8043 |
| Esoteric D-05X | 0x0644, 0x8044 |
| TEAC UD-301 | 0x0644, 0x804a |
| Mola Mola Makua | 0x20b1, 0x3089 |
| Peachtree nova500 | 0x29c5, 0x0022 |
| Gustard USB audio GSD audio | 0x292b, 0xc4b3 |
| Lindemann USB Audio 2.0 | 0x2305, 0x0010 |
| D&M holdings Inc. PMA-2500NE | 0x154e, 0x1007 |
| Quad Artera DAC | 0x2622, 0x0002 |
| Quad XU1 Audio | 0x2622, 0x0001 |
| Mission XU1 Audio | 0x2622, 0x0010 |
| Luxman XU1 Audio | 0x2622, 0x0020 |
| Wharfedale XU1 Audio | 0x2622, 0x0030 |
| Audiolab XU1 Audio | 0x2622, 0x0040 |
| Ekco XU1 Audio | 0x2622, 0x0050 |
| IAG XU1 Audio | 0x2622, 0x0060 |
| Mission Audio | 0x2622, 0x0011 |
| Luxman Audio | 0x2622, 0x0021 |
| Wharfedale Audio | 0x2622, 0x0031 |
| Ekco Audio | 0x2622, 0x0051 |
| IAG Audio | 0x2622, 0x0061 |
| Accuphase DC-950 / DP-560 / DC-37 / DP-430 / DAC-50 | 0x21ed, 0xd37a |
| Auralic Vega G2.1 | 0x1511, 0x0052 |
| Marantz SA10S1 | 0x154e, 0x3008 |
| ARCAM irDAC II | 0x25c4 |
| DA2 McIntosh | 0x2afd, 0x000b |
| Aqua USB Audio 384 | 0x31c1 |
| Using XMOS XU208 chipset | 0x25d0, 0x0002 |
| Auralic Sirius G2.1 | 0x1511, 0x0058 |
| MCS Evolution DAC-2 | 0x16d0, 0x0e5 |
| NuPrime Evolution DAC-2 | 0x16d0, 0x0e5 |
| Accuphase DAC-60 | 0x21ed, 0xd75a |
| HEM Ferrum WANDLA | 0x3336, 0x003c |
| Cyrus QXR DAC (2nd Generation) | 0x3148, 0x0077 |
| Marantz SACD 10 | 0x154e, 0x300f |
| Canor 2.10 | 0x350a:0x2211 |
| Laiv µDAC | 0x152a:0x88ea |
사용하는 DAC가 Eunhasu에서 지원하는 Native DSD DAC인지 확인하려면 다음 절차를 따라주세요.
시스템 설정 페이지 하단의 DAC infromation 링크를 클릭하여 DAC 정보 페이지로 이동 후
{{ :ko:eunhasu:sysconfigdacinfo.png |}}
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여 DAC정보 페이지에서 기기에 연결한 DAC의 USB ID를 확인하여
{{ :ko:eunhasu:dacinfo.png |}}
위의 Native DSD DAC 목록에 일치하는 USB ID가 있다면 Native DSD 재생을 지원하는 DAC입니다.
만약 일치하는 USB ID가 없다면 info@sotm-audio.com으로 위 DAC정보 페이지와 함께 요청 메일을 보내 주시면 Eunhasu에서 Native DAC 재생을 할 수 있게 업그레이드 하여드립니다.